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ISA 계좌 만기 이후 어떻게 해야 할까? 이전 방법과 세제 추가 혜택까지 한눈에 정리!

by 블로거개미 2025. 7. 5.
반응형
목차

     

    ISA 계좌 만기 후 연장, 해지, 연금계좌 이전 중 뭐가 유리할까? 2025년 기준 ISA 계좌 만기 처리 방법, 이전 절차, 연금저축·IRP 이전 시 세제혜택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ISA 계좌 만기 이후 어떻게 해야 할까? 이전 방법과 세제 추가 혜택까지 한눈에 정리!
    ISA 계좌 만기 이후 어떻게 해야 할까? 이전 방법과 세제 추가 혜택까지 한눈에 정리!

    ISA 계좌란? 기본 구조와 세제 혜택 간단 요약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는 예금, 펀드, ETF 등 다양한 금융상품을 한 계좌에서 운용할 수 있고,
    수익에 대해 비과세 및 저율 분리과세 혜택이 있는 대표적인 절세 금융상품이에요.

    항목 내용
    연간 납입 한도 2,000만 원 (최대 5년 누적 1억 원)
    세제 혜택 수익 중 200만 원까지 비과세 (서민형은 400만 원)
    초과 수익 9.9% 분리과세 (기타 금융상품은 15.4%)
    의무 보유기간 3년 이상
    운용 가능 상품 예금, 펀드, ETF, 채권 등
    💡 서민형 ISA는 조건 충족 시 비과세 한도 400만 원으로 두 배!

    ISA 계좌 만기, 언제 도래하고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

    ISA는 최소 3년 이상 보유해야 만기 조건을 충족하며,
    금융사에 따라 5년형도 제공됩니다.

    만기 시 선택지는 3가지

    선택지 내용
    ① 연장 최대 5년 추가 연장 가능 (총 10년까지)
    ② 해지 수익 실현 후 출금 (비과세 + 9.9% 저율과세 적용)
    ③ 연금계좌 이전 IRP 또는 연금저축계좌로 자금 이전 시 이중 절세 가능
    ⚠️ 일부 금융사는 만기 시 자동 연장 설정되어 있으니, 금융사 문자 도래 시점 꼭 확인!

    ISA 만기 이후 ‘이전’ 전략이 핵심인 이유

    ISA 만기 수익을 IRP나 연금저축계좌로 이전하면
    세액공제 + 저율과세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어요.

    이전 시 이점 요약

    • 비과세 및 저율과세 혜택 유지
    • 연금 수령 시 추가 저율 분리과세(3.3~5.5%)
    • 해당 연도 세액공제 한도 내 납입금으로 인정

    예시 계산

    ISA 수익 800만 원 중
    → 400만 원 연금저축으로 이전 시
    → 세액공제율 16.5% 적용
    → 400만 원 × 16.5% = 66만 원 세금 환급!

    📌 주의사항

    • 이전 가능 기간: 만기 후 60일 이내
    • 이전 가능한 계좌: 연금저축, IRP
    • 세액공제 한도: 연금저축 400만 원 + IRP 포함 700만 원까지

    ISA 해지 시 세금은 얼마나 나올까? (예시)

    항목 내용
    총 수익 600만 원
    비과세 한도 일반형: 200만 원 (서민형은 400만 원)
    과세 대상 400만 원
    과세 방식 9.9% 분리과세
    실제 세금 39만 6천 원
    💡 하지만! 연금계좌로 이전하면 3.3~5.5% 연금소득세로 줄어듭니다 🔽

    결론: ISA는 ‘해지’보단 ‘이전’이 진리! 절세 두 번 받자

    • ✅ 해지 시 → 비과세 & 저율과세는 적용되지만 세액공제는 없음
    • ✅ 연금계좌 이전 시 → 세액공제 + 연금 분리과세까지 절세 2회 적용
    • ✅ 연장이 필요한 경우 → ISA 계좌 추가 5년까지 보유 가능 (총 10년)

    ISA 만기 도래했을 땐 그냥 출금하지 마세요!
    연금으로 이전하면 더 큰 절세, 더 긴 혜택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반응형